본문 바로가기
경제적자유 공부/주식

한국시장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시작! 대체거래소란?

by 아임그류튜 2025. 3. 4.

한국 대체거래소

1. 대체거래소(ATS)란?

대체거래소(Alternative Trading System, ATS)는 기존의 증권거래소와 달리 별도로 민간기업을 통해 운영되는 주식 및 금융상품 거래 플랫폼입니다.

 

상장 심사나 시장 감시 기능은 없이 이미 상장된 주식과 파생상품 거래에만 집중합니다.

 

해외 금융 시장에서는 이미 다수의 ATS가 존재하며,

거래소 간 경쟁을 통해 더 나은 서비스와 낮은 거래 수수료 등을 제공합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수십 개의 대체거래소가 운영되며 전체 거래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 대체거래소(ATS)에 따른 주요 변화

  1. Pre마켓(8시 ~ 8시 50분)과 After마켓(15시 30분 ~ 20시) 추가로 거래시간 12시간으로 증가
  2. 가격 급변 방지를 위한 지정가 호가만 허용
  3. 중간가호가, 스톱지정가호가 추가
  4. 대량 및 바스켓매매 요건 단순화 및 수수료 인하

 

 

 

3. 대체거래소 도입 시 시장의 변화

2025년 3월, 한국 최초의 대체거래소인 ‘넥스트레이드(NXT)’가 출범할 예정입니다.

기존 한국거래소(KRX)의 독점적인 시장 구조를 변화시키며,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할 변화의 시작이 될 것입니다. 

 

대체거래소 도입에 따른 변화는 아래와 같습니다.

  1. 거래 경쟁 활성화: 한국거래소의 독점에서 추가되는 거래소들의 등장으로 비용절감을 유도
  2. 거래 속도 및 효율성 개선: 전자 시스템을 활용하여 고빈도 거래(High-Frequency Trading, HFT) 같은 기술 활용
  3. 투자자 선택권 확대: 개인 투자자 및 기관 투자자들은 기존보다 다양한 거래 옵션 도입
  4. 시장 투명성 문제: 만약 다크풀과 같은 익명 거래 방식이 도입될 경우, 시장의 투명성이 저하 우려

이에 따라, 금융 당국은 대체거래소 도입과 함께 시장 감시 및 규제 시스템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입니다.

 

4. 해외 대체거래소 운영 현황

 - 미국

대체거래소가 활성화된 국가로, 뉴욕증권거래소(NYSE), 나스닥 외에도 약 30개 이상의 ATS가 운영됩니다.

대표적으로는 BATS Global Markets, Instinet, Direct Edge 등으로, 전자 거래와 고빈도 거래를 활용합니다.

 

 - 일본

대표적인 ATS로는 Japannext PTSSBI Japannext가 있습니다.

도쿄증권거래소(TSE)의 보완적 역할을 하며, 일부 해외 기관 투자자들에게 더 경쟁력 있는 거래 수단을 제공합니다.

 

 - 유럽

Chi-X Europe, Turquoise, BATS Europe 등이 대표적인 ATS로 운영됩니다.

유럽연합의 금융시장지침(MiFID II) 도입 후, ATS는 기존 거래소와 경쟁하면서 특정 투자자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하는 중입니다.

 

5. 일반 증권거래소와 대체거래소의 차이점

기존 증권거래소와 대체거래소 간의 주요 차이점을 간단히 알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항목 증권거래소 대체거래소
운영 주체 정부 감독을 받는 공식 거래소 (KRX, NYSE 등) 민간 기업이 운영
상장 심사 엄격한 심사를 거쳐 상장 승인 이미 상장된 종목의 거래만 가능
거래 방식 중앙 집중식 공개 거래 일부 ATS는 비공개 거래(다크풀) 허용
거래 비용 비교적 높은 수수료 낮은 수수료 및 경쟁적 요금 체계
거래 속도 상대적으로 긴 체결 시간 고빈도 거래(HFT) 최적화 가능

 

대체거래소는 거래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고, 거래 비용을 낮추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다크풀을 포함한 일부 익명 거래 방식으로 인해 시장 투명성이 저하될 위험도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각국 금융 당국은 대체거래소의 운영 방식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보완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