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언어 공부2

[C] 11. C언어 공용체 및 열거형 공용체(union) 구조체와 매우 비슷하지만 메모리 구성에서 차이가 발생합니다. 공용체는 가장 큰 멤버변수의 크기만큼 메모리를 할당한 후 그것을 공유하게 됩니다. 구조체와 동일하게 이름(변수명)을 작성하고 중괄호안에 멤버변수를 선언합니다. 구조체와 다르게 메모리를 공유하는만큼 한 번에 하나의 멤버변수에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공용체는 메모리를 절약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지만 사용 시 상당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열거형(enum) 열거형은 관련된 상수들을 그룹화 하여 코드를 좀 더 읽기 쉽게 만들어줍니다. 코드를 읽기 쉽게 만든다는 것은 수정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 Q. 내가 쓴 코드인데 왜 읽기 쉬워야하죠? // A1. 대학교에서만 프로그램 수업을 들어도 팀프로젝트를 꼭 하게됩니다^^ // A.. 2024. 2. 26.
[C] 7. C언어 배열 및 포인터 C언어에서 연속된 변수를 읽고 쓰기 위해서는 배열을 사용합니다. 즉, 10명이 학생이 있는 학급의 학생의 키를 저장하고 싶은 경우 num1, num2, num3.... num10으로 10개의 변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입출력함수 또한 10줄을 적어야하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따라서, 배열을 활용하고 반복문의 활용한다면 int num[10]이라는 하나의 변수와 반복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배열 주의사항!!! 1. 배열의 index는 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크기가 10이면 0~9의 index를 가짐 2.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를 하거나 이후 인덱스별 변수 값 입력 가능 C언어에서 문자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문자를 저장하는 char 변수를 활용하면 됩니다. 문자열 주의사항!!! 1. 원하는 길이보다 +1.. 2024. 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