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회로 설계나 전자 부품을 다룰 때 빠질 수 없는 요소가 바로 저항기입니다.
특히 컬러 코드(색 띠)로 표시된 고정 저항의 경우, 외관으로는 숫자를 알 수 없어 색띠 해석이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4선 저항 읽는 방법을 알아보고, 5선·6선 저항에 대해서도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1. 4선 저항의 구성
4선 저항기는 총 4개의 색 띠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띠 번호 | 의미 | 예시 |
---|---|---|
1번 띠 | 저항값의 첫 번째 숫자 | 갈색 = 1 |
2번 띠 | 저항값의 두 번째 숫자 | 빨강 = 2 |
3번 띠 | 곱셈 배수 (10의 몇 제곱) | 주황 = ×1,000 |
4번 띠 | 오차 범위 (정확도) | 금색 = ±5% |
2. 4선 저항 읽는 방법 예시
예를 들어 갈색 - 빨강 - 주황 - 금색 순서의 저항을 보면:
- 1번 띠 (갈색) → 1
- 2번 띠 (빨강) → 2
- 3번 띠 (주황) → ×1,000
- 4번 띠 (금색) → ±5% 오차
→ 계산하면: 12 × 1,000 = 12,000Ω = 12kΩ (±5%)
3. 색상별 숫자표
색 | 숫자 값 | 곱셈 배수 | 오차 |
---|---|---|---|
검정 | 0 | ×1 | – |
갈색 | 1 | ×10 | ±1% |
빨강 | 2 | ×100 | ±2% |
주황 | 3 | ×1,000 | – |
노랑 | 4 | ×10,000 | – |
초록 | 5 | ×100,000 | ±0.5% |
파랑 | 6 | ×1,000,000 | ±0.25% |
보라 | 7 | ×10,000,000 | ±0.1% |
회색 | 8 | ×100,000,000 | ±0.05% |
흰색 | 9 | ×1,000,000,000 | – |
금색 | – | ×0.1 | ±5% |
은색 | – | ×0.01 | ±10% |
4. 5선, 6선 저항 읽는 법 (간단 정리)
5선 저항: 첫 3개의 띠는 숫자, 4번째는 곱셈 배수, 5번째는 오차입니다.
예) 갈색 - 빨강 - 주황 - 검정 - 금색 → 123 × 1 = 123Ω ±5%
6선 저항: 5선 저항과 동일하며, 6번째 띠는 온도 계수(Temp. Coefficient)를 나타냅니다.
고정밀 저항에서 사용되며, 환경 온도 변화에 대한 저항 변화 특성을 나타냅니다.
마무리
저항의 색 띠만 보고 저항값을 정확히 읽는 법은 전자 기초의 핵심입니다.
처음에는 헷갈릴 수 있지만, 색상표와 규칙을 익히면 누구나 빠르게 판독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회로 설계나 전자부품 구매 시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전공공부 > 전기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류(AC)와 직류(DC)의 차이 (2) | 2025.01.19 |
---|---|
XOR(논리적 베타합) 전기회로(스위치회로) 구성하기! (5) | 2025.01.04 |
[디지털공학] 기억소자 SR Latch, Level-Sensitive SR Latch, D Latch, D Flip-Flop (2) | 2024.12.18 |
[디지털공학] 입출력회로 Decoder, MUX(멀티플렉서), DEMUX (2) | 2024.12.16 |
[디지털공학] 디지털신호의 특징과 부울대수(XOR, XNOR, OR, AND, NOT, NAND)! (1)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