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공공부/전기전자!

4선 저항 읽는 방법 완벽 정리 (5선, 6선 저항도 간단 정리)

by 아임그류튜 2025. 7. 4.

전자 회로 설계나 전자 부품을 다룰 때 빠질 수 없는 요소가 바로 저항기입니다.
특히 컬러 코드(색 띠)로 표시된 고정 저항의 경우, 외관으로는 숫자를 알 수 없어 색띠 해석이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4선 저항 읽는 방법을 알아보고, 5선·6선 저항에 대해서도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1. 4선 저항의 구성

4선 저항기는 총 4개의 색 띠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띠 번호 의미 예시
1번 띠 저항값의 첫 번째 숫자 갈색 = 1
2번 띠 저항값의 두 번째 숫자 빨강 = 2
3번 띠 곱셈 배수 (10의 몇 제곱) 주황 = ×1,000
4번 띠 오차 범위 (정확도) 금색 = ±5%

 

2. 4선 저항 읽는 방법 예시

예를 들어 갈색 - 빨강 - 주황 - 금색 순서의 저항을 보면:

  • 1번 띠 (갈색) → 1
  • 2번 띠 (빨강) → 2
  • 3번 띠 (주황) → ×1,000
  • 4번 띠 (금색) → ±5% 오차

→ 계산하면: 12 × 1,000 = 12,000Ω = 12kΩ (±5%)

저항 읽는 방법, 저항 읽는 법
출처: 챗GPT 이미지 생성

3. 색상별 숫자표

숫자 값 곱셈 배수 오차
검정 0 ×1
갈색 1 ×10 ±1%
빨강 2 ×100 ±2%
주황 3 ×1,000
노랑 4 ×10,000
초록 5 ×100,000 ±0.5%
파랑 6 ×1,000,000 ±0.25%
보라 7 ×10,000,000 ±0.1%
회색 8 ×100,000,000 ±0.05%
흰색 9 ×1,000,000,000
금색 ×0.1 ±5%
은색 ×0.01 ±10%

 

4. 5선, 6선 저항 읽는 법 (간단 정리)

5선 저항: 첫 3개의 띠는 숫자, 4번째는 곱셈 배수, 5번째는 오차입니다.

예) 갈색 - 빨강 - 주황 - 검정 - 금색 → 123 × 1 = 123Ω ±5%

 

6선 저항: 5선 저항과 동일하며, 6번째 띠는 온도 계수(Temp. Coefficient)를 나타냅니다.

고정밀 저항에서 사용되며, 환경 온도 변화에 대한 저항 변화 특성을 나타냅니다.

 

마무리

저항의 색 띠만 보고 저항값을 정확히 읽는 법은 전자 기초의 핵심입니다.

처음에는 헷갈릴 수 있지만, 색상표와 규칙을 익히면 누구나 빠르게 판독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회로 설계나 전자부품 구매 시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